거리 기반 네트워크
- PAN (Personal) : 5m 전후 인접 통신
- LAN (Local) : 근거리 네트워크, 소규모 공간 내 고속 통신 회선
- MAN (Metropolitan) : LAN - WAN 중간
- WAN (Wide) : 광대역 네트워크망
네트워크 토폴리지
- Tree 계층형 : 쉬운 관리, 노드 추가, 신뢰도 / 상위 노드 장애 > 상위 네트워크 마비
- Bus 버스형 : 신뢰성, 쉬운 노드 추가 / 장애발생 > 전체 네트워크 마비
- Star 성형 : 고속, 노드증가-복잡도 비례
- Ring 링형 : 저렴, 충돌X
- Mesh 망형 : 많은 데이터 처리 / 회선수 n(n-1)/2
데이터 전송
- 아날로그 전송 / 디지털 전송
- 단방향 통신 - 일방적 (라디오, TV)
- 반이중 통신 - 서로 전송 but 동시 불가 (무전기)
- 전이중 통신 - 서로 동시 송수신 (전화)
- 직렬 전송 - 1회1비트
- 병렬전송 - 여러비트 동시에
- 동기식 전송 방식 - 여러 문자 수용 데이터 블럭 (고속 복잡 고가)
- 비동기식 전송 방식 - 작은 비트블럭, start/stop bit 삽입 (저속 단순 저가)
LAN
# 빠른 전송 속도, 높은 신뢰도, 네트워크 확장 및 재배치
1. 전송방식
- 베이스 밴드 - 근거리 통신, 디지털 신호 그대로 전송
- 브로드 밴드 - 원거리, 디지털 > 아날로그 데이터 변조 전송
2. 표준 802.X 시리즈
- CSMA/CD (Collision Detection 충돌 발견) - 유선
- CSMA/CA (Collision Avoidance 충돌 회피) - 무선
- 토큰 링 - 충돌X 일부 장애 > 전체 발생
- 토큰 버스 - 한방향 / 프리 토큰, 비지 토큰
- 블루투스 규약
- 802.15.1~7 순서대로 WPAN (1), WPAN-WLAN 동시사용 (2), 고속 규격 (3), 저속 규격 (4), Mesh Network (5), Body Area Network (6), 가시광선 통신
데이터 교환 방식
- 회신 교환
- 축적 후 교환
- 패킷 교환 - 작은 단위
- 데이터그램 방식 UDP - 패킷 독립적 전송, 순서무관
- 가상회선 방식 TCP - 전송 전 논리적 연결 선 수행, 경로 고정 > 패킷 나누어 전송
- 메시지 교환 - 모두 받고 저장 > 확인 후 전송 (느림)
- 패킷 교환 - 작은 단위
다중화
# 하나의 통신 회선 # 여러가입자 동시 사용
- 주파수 분할 다중화기
- 시분할 다중화기 - 일정한 데이터 전송 시간 분배
-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- 실제 데이터 존재 유무 상관없이 모두 타임 할당
- 비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- 실제 데이터가 있는 장치에만 타임 할당
- 코드 분할 다중화 CDM
- 파장 분할 다중화 WDM
- 공간 분할 다중화 SDM
다중화기 MUX - 여러개 터미널 신호를 하나의 통신 회선을 통해 전송하는 장치
- 역다중화기 - 하나를 여러개로 쪼개어 전송
- 집중화기 - 여러개를 모아 고속 전송
인터넷 서비스
- 전자우편 (SMTP, POP3, MIME 프로토콜), 텔넷, HTTP, FTP 등
IPv4 #8비트씩 4 - 32비트 # 순차적
- Unicast - 단송단수
- Multicast - 단송다수
- Broadcast - 모든 장비
IPv6 #16비트씩 8 - 128비트 #순차적
- Unicast
- Multicast
- Anycast - 그룹 내 가장 가까운 수신자
- 듀얼 스택 - IPv4,6 모두 지원 / 동시 처리
- 터널링 - IPv6 패킷 > IPv4 패킷 속 캡슐화
- 주소 변환
NAT (Network Address Translation)
DNS (Domain Name System)
프로토콜 기본 요소
- 구문 syntax
- 의미 semantics
- 타이밍 timing
흐름제어
- 수신 처리 능력에 따라 송신 전송량, 전송 속도 조절
- Stop and Wait 방식, Sliding Window 방식
- 피기배킹 - 양방향 동시 정보 프레임 ↔ 응답프레임 교차 전송
오류제어
- 전송 중 발생 오류 검출, 정정 - 파손 대비
- Stop and Wait, Go back N, Selective Repeat, Adaptive ARQ
오류발생원인
- 감쇠
- 지연 왜곡
- 상호변조 잡음
- 충격잡음
오류 검출
- 패리티 검사
- 순환 중복 검사
- 체크섬
- 해밍코드 - 오류 검출, 수정
- 상승코드
OSI 7계층 #물데네전세표응
- 물리 계층 - 통신 케이블, 리피터, 허브
- 데이터 링크계층 : 인접한 노드간 신뢰정 전송 - 스위치, 브리지
- 네트워크 계층 : 데이터 최적의 경로 전달 - 라우터, L3 스위치
- 전송 계층 : 양 종단간 사용자들의 신뢰성 데이터 주고받기
- 세션 계층 : 통신 관리, 서버 저장
- 표현 계층 : 프로세스 독립성 제공, 암호화
- 응용 계층 :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
백본
- 백본 네트워크 - 대규모 패킷 통신망
- 백본 스위치
- L2 - 데이터 링크 계층, MAC 주소 기반
- L3 - 인터넷 계층, IP 주소 기반
- L4 - 전송 계층, 로드밸런싱
- L7 - 응용 계층까지 운용, 패킷 분석, 방화벽 구축
TCP/IP
-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- X.25
- 인터넷 계층
- IP
- ICMP - 에러 발생 원인 알려주거나 상태 진단
- IGM
- ARP / RARP - IP↔MAC 주소 변환
- 전송 계층
- TCP - 연결 지향형, 전송 순서 보장, 정확성 안정성
- UDP - 비연결 지향형, 받는 쪽에서 재조합 / 세그먼트단위 / 재전송X
- 응용 계층 #프로그램
- TCP 프로토콜 - HTTP, FTP, SMTP
- UPD 프로토콜 - DNS, SNMP, DHCP
IP 헤더 #발신지 주소, 목적지 주소
라우팅 프로토콜
- 라우터 : 데이터 패킷이 목적지까지 이동할 때 최적의 경로를 판단하는 장비
- 정적 라우팅
- 동적 라우팅
- IGP
- 링크상태벡터
- OSPF (Open Shortest Path First) - Hop 수 제한 X, 링크상태 변화시에만 모든 라우팅 정보 전송
- 거리 벡터
- RIP (Routing Information Protocol) - Hop 수 기반 라우팅, 30초마다 변화없어도 계속 인접 라우팅 수집
- 링크상태벡터
- EGP
- BGP (Border Gateway Protocol) - 규모가 큰 망 지원
- IGP
반응형
'정보처리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정보처리기사 실기 - <소프트웨어> keyword 🔑 - 작성 중 (0) | 2022.05.04 |
---|---|
흥달쌤 깨알 C언어 41~60강 + 깨알특강 1~2 스터디 노트 (0) | 2022.04.14 |
흥달쌤 깨알 C언어 21~40강 스터디 노트 (0) | 2022.04.12 |
흥달쌤 깨알 C언어 11~20강 스터디 노트 (0) | 2022.04.07 |
흥달쌤 깨알 C언어 1~10강 스터디 노트 (0) | 2022.04.06 |